티스토리 뷰

저도 처음엔 이름이 비슷하니까
“사후피임약이든 피임약이든 어차피 피임에 쓰는 거 아냐?”라고 생각했어요.

그런데 막상 자세히 알아보니
두 약은 목적도, 복용 방법도, 성분도 완전히 다르더라고요.
그리고 이걸 제대로 구분 못 하면
효과도 떨어지고, 부작용 위험도 커질 수 있어요.

이번 글에서는 **사후피임약 vs 일반 피임약(경구피임약)**의 차이를
목적, 타이밍, 성분, 가격, 부작용 등 모든 면에서 비교해서 알려드릴게요.


📝 사후피임약 vs 피임약 한눈에 비교

항목사후피임약일반 피임약 (경구피임약)
복용 목적 응급 피임용 일상적인 피임 유지용
복용 시점 성관계 후 72시간 이내 생리 1일째부터 매일 복용
처방 여부 의사 처방 필요 약국 구매 가능 (일부 OTC)
호르몬 농도 고농도 (단기 효과) 저농도 (지속적 복용)
부작용 강도 메스꺼움, 생리불순 등 강하게 나타남 상대적으로 적음
가격 1~2만 원/회 월 5,000~1만 원 내외
 

👉 4편: 사후피임약 복용 실패 사례 보기


💡 어떤 상황에 어떤 약을 선택해야 할까?

✔ 평소에 피임 계획이 있다면 → 일반 피임약 권장

  • 매일 복용하며 일정한 호르몬 유지
  • 장기적으로 생리주기 안정화에도 도움

✔ 피임 실패나 갑작스러운 사고가 발생했다면 → 사후피임약 사용

  • 콘돔 찢어짐, 질외 실패, 무방비 관계 등
  • 관계 후 최대 72시간 이내 복용 시 효과 있음

🚫 사후피임약, 이렇게 사용하면 위험해요

저도 과거에 “응급약이라니까 관계 후마다 먹으면 안전한 거 아닌가?” 생각했지만,
그건 정말 위험한 오해였어요.

잘못된 사용 사례위험 요소
관계 직후마다 반복 복용 효과 저하, 부작용 증가, 내성 가능성
피임약 복용 중인데 사후피임약도 병행 과도한 호르몬 섭취 → 두통, 구토, 생리불순
사후피임약을 피임약처럼 정기 복용 자궁내막 변화, 생리 주기 붕괴 가능성
 

사후피임약은 ‘응급용’입니다. 정기 피임엔 적합하지 않아요!

👉 2편: 복용 전 부작용 및 주의사항 알아보기


🔄 시리즈 전체 보기


🙌 마무리하며

사후피임약과 피임약은
목적이 다르고, 쓰임새도 다르며, 몸에 주는 영향도 확연히 다릅니다.

정확히 알고 사용하면
불필요한 복용도 줄일 수 있고, 부작용도 예방할 수 있어요.

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
다음 편도 함께 읽어보시고,
응원해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!

 

#사후피임약피임약차이 #피임약복용법 #응급피임비교 #사후피임약주의 #경구피임약 #호르몬약비교 #피임실패대응 #사후피임약설명 #여성건강약 #피임방법정리
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